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초중딩때 방학숙제로 많이 베꼈던 추억의 독후감
    Book 2022. 6. 4. 03:18

    여름 겨울방학 끝나기 며칠전까지 신나게 놀다가 방학이 얼마남지 않았다는 자각과 함께, 네이버 지식인의 도움을 받아 수십개의 독후감을 표절방지 알고리즘을 피하기 위해 토씨를 조금씩 바꿔가며 샤프로 나의 감상인냥 적었던 그때를 기억한다.

     

    그때는 해야되니까, 학교에서 하라고 했으니까 묵묵히 했었다. 학생시절이 끝나고나서의 독서 과정은 독서가 끝이었다. 책이라는 재료를 가지고 머리에 인풋만 하고 아웃풋과정은 없었다. 인풋 과정조차도 그순간의 지적 호기심과 흥미만을 채우고 이순간이 지나면 잊어버리는 내용들이 많았다.

     

    그래서 독후감을 작성한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독후감이라는 탈을 쓴 낙서장이다.

     

    블로그를 처음 만들 때는 거창하게 나의 개발자로서의 성장과정을 기록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했다.

    그래서 개념 밥말아먹고 거만했던 밝은 미래를 꿈꿨던 자칭 예비개발자는 티스토리로 블로그를 파서 개발공부일지를 올렸다.

    잘 될리가 없던 블로그는 내 머릿속에서 잊혀졌고 그렇게 방치된지 대충 9개월이 지나고 다시 꺼내서 먼지도 털어내고 다시 시작해본다.

     

    어색한 문장과 반복되는 단어들이 많지만 굳이 수정하지 않는다.

    이게 이번에 새로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만든 나의 첫번째 규칙이다.

    백스페이스도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어색한 문장이 있고 고치고싶어도 그대로 둔다.

    나의 완벽주의를 완벽주의 성향을 없애기 위한 발판이다.

    완ㅂ겨벽주의는 이런식으로 고쳐나가야 한다.

     

    이번 글은 독후감이다.

    책을 읽고나서 적는 글이 독후감인데 나는 아직 책도 읽지 않았다.

    책을 읽기 전에 쓰는 글이니까 이 글은 독전감이다.

     

    독전감을 쓰는 이유는 내가 이 책을 읽기 전에 책을 통해서 뭘 배우고 얻고싶은지를 적고싶기 때문이다.

    아무생각없이 읽을책을 골라서 읽으면 책을 읽는 목표가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내가 원하는 것을 머리속에 집어넣기가 어려워진다.

     

    그냥 머리에 인풋만 되고 이 인풋도 잘 안이루어진다.

    그런데 딱 머리에 이 책을 읽고 이걸 얻겠다. 이런 마인드를 먹고 책을 읽으면서 보면, 내가 원하는 정보가 나오는 시점에서 집중력이 팍 올라간다. 사람은 집중력의 정도에 따라서 머리에 많이 남냐 안남냐가 정해지기 때문에 집중력이 중요한데, 내가 원하는 것을 얻을 때의 집중력은 그자체로 행복호르몬인 도파민이 분비되면서 이것이 감정뉴런과 연계되어 기억에 더 남게된다.

     

    그래서 목표지향적인 삶을 살아야 하는것이다.

     

    남자로 태어난 이상 머리에 심어져있던 꽃밭을 농약으로 다 없애버리고 목표, 이행, 성취의 과정을 이뤄야 한다.

    그과정에서 받는 고통은 무시하고 삼켜야 하는게 남자다.

    남탓, 환경탓, 나라탓, 부모탓, 친구탓, 자기합리화 다 버리고 나에게서 문제를 찾고 뼈를 깎아가면서 성장해 나가야 하는게 남자다.

     

    그래서 책을 읽을때도 목표를 가지고 읽어야 한다.

    나는 동시에 5권의 책을 읽기로 했다.

     

    책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클린코드

    리팩터링 2판

    Node.js 교과서

    하루에 1챕터씩 읽으면서 대략 2주간의 독서로 5권을 독파할 예정이다.

    너무 많다고 할 수 있지만 원래 하루 이틀에 1권씩 책을 읽는 사람으로서 이정도는 가뿐히 가능하다.

    지금은 그냥 대충 2번째 책 읽고있는데 시스템 설계 아무것도 몰라도 재밌고 이해도 잘된다. 시스템 설계의 큰그림이 머리에 그려지는 기분이 좋다.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 클린코드, 그 이름도 유명한  (0) 2022.06.04
    [1-1]실용주의 프로그래머 독후감 시작  (0) 2022.06.04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