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CSS 9강 Float , 구글 UI 클론코딩Javascript 2021. 5. 25. 20:39
9강 - Float float 프로퍼티는 블록 요소를 가로 정렬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기법이다. flexbox으로 대체할 수 있지만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IE)가 있기 때문에 알아야 한다. float을 사용하지 않은 블록 요소들은 수직으로 정렬된다 float:left 가 사용된 블록 요소들은 왼쪽부터 가로 정렬된다 float:right 가 사용되면 오른쪽부터 가로 정렬된다. 1 2 출력 결과 : 왼쪽부터 가로정렬, padding과 margin을 이용해서 띄우기 float 프로퍼티 관련 문제 해결 방법 1. float 선언된 요소와 선언되지 않은 요소간 margin이 사라지는 경우 - float이 선언되지 않은 요소에 overflow:hidden 추가 2. 부모 요소가 float 선언된 자식을 포함할..
-
CSS poiemaweb 2강~8강Javascript 2021. 5. 24. 20:19
어트리뷰트 셀렉터 (Attribute Selector) ~= : 공백으로 분리되고 지정된 어트리뷰트 값을 포함하는 요소를 선택한다. |= : 지정된 어트리뷰트 값과 일치하거나 값 뒤에 -으로 시작하는 요소를 선택한다. ^= : 지정된 어트리뷰트 값으로 시작하는 요소를 선택한다. $= " 지정된 어트리뷰트 값으로 끝나는 요소를 선택한다. Heading first Heading-first Heading second Heading second- 네이버 구글 출력 결과 3강 - 프로퍼티 값의 단위 크기단위 px 픽셀은 모니터 화소 1개의 크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해상도에 따라 px 크기가 달라진다. 그래서 대부분의 브라우저는 1px을 1/96인의 절대단위로 인식한다. % 백분률 단위의 상대 단위로, 요소에 지정..
-
HTML 복습 및 CSS 공부 시작Javascript 2021. 5. 23. 21:59
첫날에 HTML을 공부하면서 이해가 부족하다고 느꼈던 Image & Multimedia, Forms, Structure 다시 예제를 풀면서 복습했다. HTML Image & Multimedia 오디오파일이나 비디오파일을 브라우저에 띄울 때 각 브라우저마다 지원하는 확장자가 다르기 때문에 source태그를 넣어준다 노래 듣기 영상 보기 Forms 아래 코드상에서 액션에 해당되는 주소로 들어가보니 데이터 묶음들이 있었고 id,username,city를 모두 입력한 후 Submit 버튼을 눌러야 데이터를 볼 수 있게 만든 후 데이터셋을 하나 골라서 value를 입력했다. ID: username: city: fieldset,checkbox type,color type, option을 활용해서 설문조사 형식의 폼..
-
HTML 기초 학습Javascript 2021. 5. 22. 23:41
학습 방향 1. 사전학습 가이드를 학습하면서 동시에 노션에 자료를 필기하듯이 작성한다. 2. 학습중 실습을 할 경우 vscode에 코드 작업을 한다. 3. 배운 부분이 어떻게 실제로 쓰이는지 poiemanweb 내에 있는 예시를 통해 확인하고 내 코드와 비교한다. 4. 노션 내용을 정리해서 블로그에 적는다. poiemaweb HTML 강의 1강-프론트엔드 개발자 학습 방향 프론트엔드는 서비스 이용자와 백엔드의 징검다리 역할을 수행한다. 프론트엔드 개발자 학습 방향: 실력 향상에 지름길은 없다. 견딜 수 있을 만큼의 도전이 의식적으로 반복될 수록 점차 실력은 향상될 것이다. 2강-html 기본 문법 웹페이지는 HTML-CSS-JS 로 이루어지고 이중 HTML은 웹페이지의 내용(context)과 구조(str..
-
개발 블로그 개설 완료!카테고리 없음 2021. 5. 22. 07:05
난이도와 검색 용이성,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추린 블로그 플랫폼 두가지로 벨로그(velog.io)와 티스토리 중 어떤 플랫폼으로 포스팅을 시작할 지 고민이 들었다. 벨로그의 장점은 아무리 온라인이라고는 하지만 벨로그 메인 화면에 모든 사용자의 포스팅이 나열되어 있어서 '개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는 점이었고 티스토리의 장점은 좀 더 사적인 공간이라는 느낌 때문에 내 이야기를 더 잘 풀어낼 수 있는 점이었다. 그 중 나는 순수히 기록에 집중하고 싶었기에 티스토리를 선택했다.